설치환경 | |
OS |
Window7 Home Premium K 64bit |
CPU |
Intel(R) Core(TM) i5-3570 CPU 3.40GHz @ 3.80GHz |
RAM |
8.00GB |
[MySQL] 사용자 계정 및 DB 생성하기
(with MySQL Workbench 6.0 CE)
mysql community 5.6.14.0 또는 mysql workbench 를 설치하였다면 아래와 같은 메뉴를 확인 가능합니다.
MySQL Workbench 6.0 CE 를 실행합니다.
![](http://postfiles13.naver.net/20131106_108/matoker_13837046398208MUTd_PNG/2013-11-05_%BF%C0%C8%C4_2-15-20.png?type=w2)
실행 후 화면입니다.
기본적으로 root 사용자에 대해서 로컬 인스턴스 커넥션만 하나 생성되어 있습니다.
![](http://postfiles11.naver.net/20131106_170/matoker_13837046401598bpHm_PNG/2013-11-05_%BF%C0%C8%C4_2-15-21.png?type=w2)
로컬 인스턴스 MySQL56 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root 비밀번호를 물어봅니다.
Save password in valut 를 체크하면 비밀번호가 저장됩니다.
저는 보안상의 이유로 저장하지 않고 번거롭지만 매번 입력하는 것으로 합니다.
![](http://postfiles3.naver.net/20131106_290/matoker_1383704640314PUt3M_PNG/2013-11-05_%BF%C0%C8%C4_2-15-54.png?type=w2)
root 계정으로 로컬 인스턴스로 접속한 화면입니다.
![](http://postfiles12.naver.net/20131106_107/matoker_1383704640791rBlay_PNG/2013-11-05_%BF%C0%C8%C4_2-16-50.png?type=w2)
데이터베이스(스키마) 추가 아이콘을 클릭합니다.
그리고 데이터베이스 이름을 입력합니다.
요즘 다국어가 트렌드이다 보니 문자집합을 유니코드 사용을 위해서 utf32 - utf32_general_ci 로 선택합니다.
그리고 Apply 를 클릭합니다.
![](http://postfiles4.naver.net/20131106_99/matoker_1383704641027zf0VQ_PNG/2013-11-05_%BF%C0%C8%C4_2-17-24.png?type=w2)
적용될 스크립트를 미리보여줍니다.
![](http://postfiles11.naver.net/20131106_234/matoker_1383704641427OpHCz_PNG/2013-11-05_%BF%C0%C8%C4_2-18-20.png?type=w2)
스크립트를 실행하고 성공했다는 메시지를 받습니다
Finish~
![](http://postfiles13.naver.net/20131106_60/matoker_1383704641791pinVI_PNG/2013-11-05_%BF%C0%C8%C4_2-18-39.png?type=w2)
데이터베이스(스키마)가 만들어졌습니다.
이제 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사용자를 만들어서 연결해줍니다.
Users and Privileages 메뉴를 클릭한 후 Add Account 를 클립니다.
![](http://postfiles5.naver.net/20131106_84/matoker_13837046420892smQc_PNG/2013-11-05_%BF%C0%C8%C4_2-20-04.png?type=w2)
신규 사용자 계정 설정 화면입니다.
Login 탭에서 사용자 이름 (접속할 ID)를 선택하고 비밀번호를 넣습니다.
이때에 Limit Connectivity to Host Matching 부분에 % 를 넣으면 모든 호스트(IP)로 부터 접속이 가능합니다.
만일 로컬에서만 접속을 허용하려면 localhost 또는 127.0.0.1 을 넣고,
특정 서버에서만 DB로 접속을 하게 하려면 해당 서버 IP를 입력하면 됩니다.
![](http://postfiles6.naver.net/20131106_37/matoker_1383704642325cL6Uv_PNG/2013-11-05_%BF%C0%C8%C4_2-21-52.png?type=w2)
그리고 Schema Privileges 탭을 눌러서 Add Entry 를 누릅니다.
![](http://postfiles13.naver.net/20131106_252/matoker_1383704642556syh6x_PNG/2013-11-05_%BF%C0%C8%C4_2-23-10.png?type=w2)
해당 사용자에게 연결할(사용을 허락할) 데이터베이스(스키마)를 지정합니다.
![](http://postfiles12.naver.net/20131106_251/matoker_1383704642799m6Jex_PNG/2013-11-05_%BF%C0%C8%C4_2-23-49.png?type=w2)
그리고 해당 데이터베이스(스키마)에서 사용가능한 권한들을 넣어줍니다.
DML 과 DDL 에 대한 권한을 넣어줍니다.
테스트 또는 개인용도의 목적이라면 Select All 로 모든 권한을 넣어 줍니다.
![](http://postfiles8.naver.net/20131106_55/matoker_1383704643137fDIMj_PNG/2013-11-05_%BF%C0%C8%C4_2-25-12.png?type=w2)
사용자 계정이 만들어졌습니다.
![](http://postfiles12.naver.net/20131106_139/matoker_1383704643393K1lFM_PNG/2013-11-05_%BF%C0%C8%C4_2-26-47.png?type=w2)
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칩니다.
'Etc > 보관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SS] 박스, 테이블 속성 (0) | 2014.02.06 |
---|---|
[CSS] css 선택자, 속성 (0) | 2014.02.06 |
[MySQL] MySQL Workbench 설치하기 (0) | 2014.02.06 |
[MySQL] SQL Developer 설치하기 (0) | 2014.02.06 |
[MySQL] mysql community 설치하기 (윈도우용) (0) | 2014.02.06 |